8단원 공급과 수요: 다수의 구매자와 판매자가 있는 시장

8.2 사고 팔기: 수요, 공급 그리고 시장청산 가격

이 단원에서 우리는 많은 수의 구매자와 판매자가 존재하는 시장을 분석할 것이다. 이 시장은 그런 의미에서 7단원에서 본 한 사람의 판매자와 여러 구매자가 존재하는 차별화된 재화시장과는 다르다. 차별화된 상품의 판매자들은 자신들이 파는 상품과 유사한 상품들을 판매하는 판매자들과 경쟁을 벌인다. 하지만 하나의 상품을 수많은 판매자들이 공급할 때 경쟁은 훨씬 더 심하다.

지불용의가격(WTP)
개인이 재화에 대해 얼마나 가치를 부여하는가의 지표이며, 그가 그 재화 한 단위를 얻기 위해 최대한 얼마까지 지불하려고 하는가로 측정됨. 이와 관련하여 수락용의가격을 참조하라.
수락용의가격(WTA)
한 개인이 재화에 대해 얼마나 가치를 부여하는가의 지표이며, 그가 그 재화 한 단위를 교환에 내놓을 때 최소한 얼마 이상을 받고자 하는가로 측정됨. 이와 관련하여 지불용의가격을 참조하라.
유보가격
어떤 사람이 재화를 판매하려면 최소한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가격.

WTP는 이베이(eBay)와 같은 온라인 경매에서 구매자들의 행동을 분석할 때 유용한 개념이다. 아이템을 얻기 위해 입찰에 참여하고 싶다면, 자신의 WTP와 같도록 최대입찰가를 설정해 놓으면 된다. 물론 설정된 가격은 타인들에게 비밀로 유지된다. 여기를 클릭하면 이베이에서 어떤 방식으로 입찰가를 적어내는지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다. 이베이는 특정 상품의 구매를 원하는 사람이 설정한 최대입찰가 범위 내에서 그를 대신해 계속해서 입찰을 진행한다. 최종적으로 경매에 제출된 최고입찰가가 이 구매자의 WTP보다 같거나 낮으면 그리고 그 때에 한해서 그는 경매에서 승자가 된다.

공급곡선
공급곡선은 주어진 가격에서 시장에 공급되는 생산물의 양을 나타낸다. 기업의 공급곡선은 개별 기업이 공급하는 양을 나타내고 시장공급곡선(혹은 산업공급곡선)은 그 시장의 모든 판매자들(혹은 그 산업의 모든 기업들)이 공급하는 양을 나타낸다. 공급함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많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있는 단순 모델을 보기 위해 대학 경제학 강좌의 주교재의 중고거래시장을 생각해보자. 이 시장에서의 수요는 이번 학기 그 수업을 들으려고 하는 학생들로부터 나온다. 이들의 지불용의가격(willingness to pay, WTP)의 크기, 즉 주교재 교과서를 얻기 위해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은 개인마다 다르다. 물론 중고 주교재에 학교 구내 서점에서 파는 책의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자 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중고 주교재에 대한 지불용의가격은 구내 서점 가격보다 낮게 형성되겠지만 그 수준은 학생이 얼마나 열심히 공부하려고 하는지, 학생이 그 책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등에 따라 다를 것이다. 물론 학생이 갖고 있는 소득의 크기로부터도 영향을 받을 것이다.

우리는 이 교과서의 수요곡선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모든 소비자들을 그 교과서에 대한 지불용의가격의 순으로 높은 사람부터 낮은 사람까지 줄을 세운다. 그리고는 각자의 지불용의가격을 그래프의 점으로 표시한다. 그러면 지불용의가격이 높은 사람에서 낮은 사람까지 그 수준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그림 8.1과 같이 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첫 번째 학생은 최대 $20를 지불할 용의가 있고, 20번째 학생은 최대 $10를 지불할 용의가 있다. 그래프는 우하향하는 기울기를 갖게 되는데, 그래프의 가로 길이는 가격 P에서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그 책을 사려고 하는지를 말해준다. 즉 각 가격에서의 그래프까지의 가로 길이는 WTP가 그 가격 P보다 높은 사람의 숫자이다.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구매자의 지불용의가격을 P로 표시할 것이다. P의 범위는 0에서 25까지라고 하자.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0)과 (40, 0)을 잇는 우하향하는 직선을 수요곡선이라고 부른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2-buying-and-selling.html#그림-8-1

그림 8.1 교과서의 시장수요곡선.

이베이와 같은 온라인 경매에서는 판매자들에게도 마찬가지로 자신들의 WTA를 입력하게 한다. 이베이에서 아이템을 팔고자 한다면 아이템에 대해 유보가격을 설정할 수 있는데, 물론 이 가격은 다른 사람들에게는 알려지지 않는다. 여기 이베이의 유보가격 설정에 대한 설명서가 있다. 물건을 팔고 싶은 사람이 유보가격을 적어 넣으면 그 가격 이상의 가격으로 사겠다는 사람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이베이는 그 아이템을 팔지 않는다. 따라서 유보 가격은 판매자의 WTA와 일치한다. 판매자가 설정해 놓은 WTA에서 사겠다는 사람이 나타나지 않으면 아이템은 팔리지 않는다

중고 교과서의 공급은 이 과목을 이미 이수한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책을 팔고 얼마를 받으려고 하는지를 나타내는 수락용의가격 (willingness to accept, WTA), 즉 유보가격(reservation price)은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각 판매자들의 유보 가격은 그들이 자신들이 책에 얼마의 가치를 부여하는가의 척도이다. 유보가격보다 현재의 가격이 낮다면 책을 파느니 그대로 갖고 있으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돈이 쪼들리는 학생이라면 다른 책을 구입하기 위해서 책을 팔고 싶어 할 것이고 이 경우에 그들의 유보 가격은 다소 낮을 수도 있다.

우리는 학생들의 유보가격(WTA)에 따라 낮은 학생부터 높은 학생까지 줄을 세워 공급곡선을 그릴 수 있다. 책을 가장 팔고 싶어 하는 판매자, 즉 유보 가격이 가장 낮은 판매자를 가장 왼쪽에 세워보면, 유보가격의 그래프는 우상향하는 기울기를 갖는다.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로 표시한다. P의 범위는 0에서 14이다.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를 출발해서 (1, 2.25), (10, 32), 그리고 (40, 12)를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을 공급곡선이라고 부른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2-buying-and-selling.html#그림-8-2

그림 8.2 교과서의 공급곡선

유보가격: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로 표시할 것이다. P의 범위는 0에서 14까지이다.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를 출발해서 (1, 2.25)를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을 공급곡선이라고 부른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2-buying-and-selling.html#그림-8-2a

유보가격

어느 누구도 $2 이하로는 책을 팔려하지 않는다. 유보가격이 가장 낮은 판매자의 유보가격은 $2.25이다. 그는 이보다 높은 가격이 주어지면 책을 팔려 할 것이다.

20번째 판매자: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로 표시할 것이다. P의 범위는 0에서 14까지이다.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를 출발해서 (1, 2.25), (20, 7)을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을 공급곡선이라고 부른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2-buying-and-selling.html#그림-8-2b

20번째 판매자

20번째 판매자는 가격이 $7가 되면 거래를 수락한다.

40번째 판매자: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로 표시할 것이다. P의 범위는 0에서 14까지이다.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를 출발해서 (1, 2.25), (20, 7), (40, 12)를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을 공급곡선이라고 부른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2-buying-and-selling.html#그림-8-2c

40번째 판매자

40번째 판매자의 유보가격은 $12이다.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우상향한다: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로 표시할 것이다. P의 범위는 0에서 14까지이다.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를 출발해서 (1, 2.25), (20, 7), (40, 12)를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을 공급곡선이라고 부른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2-buying-and-selling.html#그림-8-2d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우상향한다

아무 가격이나 선택해보라. $10을 선택했다면 이 그래프는 그 가격에서 얼마나 많은 책이 공급될 것인지(Q)를 보여준다. 이 경우 그 크기는 32권이다. 공급곡선은 우상향하는 기울기를 갖는다. 가격이 높아지면 더 많은 학생들이 그 책을 팔려고 내놓을 것이다.

각 가격 수준에서 공급곡선은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책을 팔려고 하는지, 즉 각 가격에서 시장에 공급되는 책의 수량은 얼마일지를 나타낸다. 우리는 단순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을 모두 직선으로 그렸다. 실제로는 이 곡선들은 곡선의 형태를 띨 수도 있는데, 그 정확한 형태는 학생들 사이에서 책에 대한 가치 평가가 얼마나 다른지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것이다.

확인문제 8.1 다음 중 옳은 것을 모두 골라라.

여러분이 학생 대표를 맡고 있다고 해 보자. 지금 해야할 역할 중 하나는 현재 1학년과 이미 1학년을 마친 학생들 사이에서 중고교과서 시장을 만드는 것이다. 서베이를 통해 그림 8.18.2에서 본 것 같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을 추정해냈다고 하자. 예를 들어 가격이 7달러일 때 시장에는 20권의 책이 공급될 것이고 수요는 26권일 것임을 알아냈다고 하자. 이제 이 정보를 토대로 다음 진술을 읽고 옳은 것을 모두 골라라.

  • 2학년 때에도 같은 교과서가 사용된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 소문은 공급곡선을 위쪽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 가격이 7달러에서 14달러로 2배가 오르면 공급도 정확히 2배 증가할 것이다.
  • 이제 1학년 수업 때 이 교과서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이 소문은 수요곡선을 위쪽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 가격이 충분히 낮으면 수요는 2배 증가할 것이다.
  • 이미 1학년을 마친 학생들이 그 소문을 듣는다면 이 교과서를 덜 팔려고 할 것이다. 이들의 WTA가 올라갈 것이고 따라서 공급곡선도 위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각 가격에서 책을 팔려고 하는 학생들의 수는 줄어들 것이다.
  • 그림에 따르면 가격이 14달러가 아니라 12달러로 오르면 공급량이 20에서 40으로 2배가 된다.
  • 이제 1학년 수업때 이 교과서가 교재로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소문을 들으면, 학생들은 이 책을 덜 사려고 할 것이다. 이들의 WTP는 하락할 것이고 따라서 수요곡선도 아래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각 가격에서 책을 사려고 하는 학생들의 수는 줄어들 것이다.
  • 가격이 0일 때 수요량이 최대가 되며 그 때 수요량은 40이다.

연습문제 8.1 판매전략과 유보가격

차를 팔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을 고민해보자.

  • 지역 온라인 뉴스그룹에 광고를 낸다.
  • 중고차 경매에 가져간다.
  • 중고차 중개인에게 가져간다.
  1. 어떤 방법을 선택하든 유보가격은 변화가 없을까? 아니면 어떤 방법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유보가격이 변할까? 설명해 보자.
  2. 차를 가장 높은 가격에 팔려면 어떤 방법을 써야한다고 생각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3. 어떤 방법을 선택할 것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일지를 말해 보자.

시장과 시장청산

교과서 시장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게 될지를 생각해보자. 시장의 구체적인 모습은 판매자와 수요자를 연결해주는 시장의 제도적인 측면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공시가격 같은 것이 없고 구매자와 판매자가 한 곳에 모여있는 것이 아니라면, 구매자는 판매자를 찾아내야 하고, 협상을 통해 두 사람 모두가 만족하는 적절한 가격에 합의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하지만 구매자들은 낮은 유보 가격을 갖고 있는 판매자들을 찾고 싶어하고, 판매자도 마찬가지로 더 높은 지불용의가격을 가진 구매자들을 찾길 원할 것므로, 거래 상대와 협상을 마무리하기 전에 이들은 또 다른 거래 기회가 없는지를 알고 싶어 할 것이다.

전통적인 시장 거래에서는 많은 구매자와 판매자들이 한 곳에 모여 거래를 진행한다. 세계의 많은 거대도시들이 중국과 지중해를 연결하는 실크로드와 같은 고대 무역로를 따라 번성한 시장과 바자를 바탕으로 성장했다. 세계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실내 시장 중 하나인 이스탄불의 그랜드 바자(Grand Bazaar)에서는 양탄자, 금, 가죽 그리고 옷감 등을 파는 상점이 여러 곳에 모여 있다. 크고 작은 중세 도시들에서는 보통 같은 상품을 판매하는 제조업자와 판매자들이 가까이 모여 있어서 고객들이 그들이 어디에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었다. 런던은 지금은 금융의 중심지이지만 푸딩 레인(Pudding Lane), 브레드 스트릿(Bread Street), 밀크 스트릿(Milk Street), 스레드니들 스트릿(Threadneedle Street), 아이언몽거 레인(Ironmonger Lane), 포울트리(Poultry), 로우프메이커 스트릿(Ropemaker Street), 실크 스트릿(Silk Street) 등과 같이 아직도 예전에 거기에서 판매되던 특정 상품들이 무엇인지를 알려주는 거리 이름들이 남아 있다.

이 그림은 거리이름들이다. 다음과 같은 이름들이 보인다. Milk Street, Threadneedle Street, Silk Street, Bread Street, Pudding Lane, Ironmonger Lane, Poultry, and Ropemaker.
전체화면

현대 통신기술의 발달로 판매자는 더 광범위하게 자신의 제품을 광고할 수 있게 되었고, 구매자들은 어디서 어떤 제품을 살 수 있는지를 더 쉽게 찾아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수의 구매자와 판매자가 한 곳에 만나는 것이 편리할 때도 있다. 대도시에는 육류, 생선, 야채 혹은 꽃 등을 판매하는 시장이 있어 구매자가 제품들의 품질을 직접 조사하고 비교할 수 있다. 과거에는 중고품 거래 시장에 전문 딜러를 두기도 했지만 지금은 판매자들이 이베이와 같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구매자와 직접 연결되어 거래를 진행하기도 한다. 웹사이트가 있다면 학생들을 다른 학생들에게 직접 책을 팔 수도 있을 것이다.

19세기 말 경제학자 앨프리드 마셜(Alfred Marshall)은 우리가 방금 본 중고 교과서 시장과 유사한 예를 통해 수요와 공급 모형을 설명했다. 대부분의 영국 소도시들에는 농부들이 상인들에게 자신들의 곡물을 판매하는 곡물 거래소가 있다. 마셜은 곡물의 공급 곡선이 농부들이 수락할 용의가 있는 가격에 의해 결정되며 수요 곡선은 상인들의 지불용의가격에 의해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그는 시장에서의 “흥정과 협상” 속에서 가격이 “셔틀콕처럼 이리 저리 오갈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정된 가격은 농부들이 공급하려고 하는 공급량과 상인들의 수요량을 일치시키는 수준의 가격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림 8.3은 그의 아이디어를 교과서 시장에 적용한 것이다. 수요량이 공급량과 일치하는 가격을 찾기 위해 우리는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을 함께 그렸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교차하는 A점에서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며 그 때 가격은 P* = $8이고, 수량은 Q* = 24이다. 수요곡선을 보면 24명의 구매자들이 $8 이상 지불할 용의가 있고, 24명의 판매자들이 $8 이하에서 수락용의가 있다. 우리는 $8에서 “시장이 청산된다”고 말한다.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로 표시한다. P의 범위는 0에서 25까지이다.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를 출발해서 (24, 8)을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이 공급곡선이다. (0, 20), (40, 0)을 잇는 우하향하는 직선이 수요곡선이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은 A점에서 교차한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2-buying-and-selling.html#그림-8-3

그림 8.3 중고 교과서 시장은 $8에서 청산된다.

시장청산 가격
재화의 수요량이 공급량과 같아지는 수준의 가격. 이와 관련하여 균형가격을 참조하라.

하지만 마셜이 곡물 거래를 예로 들었을 때 제시했던 것과 같이 시장청산가격P* = $8에 가까운 가격에서 교과서를 팔고자 하는 사람들은 거의 대부분 팔았다고 예측할 수 있을까?

마셜의 주장은 판매자가 동질적인 재화를 판매하고 있다는 즉 모든 곡물은 같은 종류이고 같은 품질을 가졌다는 가정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도 모든 교과서가 동질적이라고 가정할 것이다(물론 현실에서는 몇몇 교과서들은 다른 교과서보다 상태가 더 좋을 수 있다). 또한 농부들이 곡물 거래소애서 거래하는 것처럼 교과서를 사고 파는 학생들도 학생회에서 조직한 중고 교과서 판매 장터에서 함께 만나 거래를 한다고 가정할 것이다.

그러면 마셜의 주장과 유사한 주장을 할 수 있다. 판매자들이 $10의 가격을 부른다면 이들 중 아주 일부만 구매자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몇몇은 가격을 조금 낮추는 편이 더 나을 것임을 곧 깨닫게 될 것이다. 다른 한편 가격이 $5인 상태라면 판매자들은 줄을 지어 몰려오는 구매자들과 만나게 될 것이고, 좀 더 높은 가격에서도 자신들의 교과서를 팔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8이 아닌 다른 가격에서도 약간의 거래가 일어날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상황을 좀 더 지켜보려고 할 것이고, 곧 가격은 $8 가까운 곳에서 형성되어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킬 것이다.

위대한 경제학자 앨프리드 마셜

앨프리드 마셜의 초상
한계효용
재화를 한 단위 증가시켰을 때 그로부터 얻어지는 추가적인 효용.
한계비용
생산량이 한 단위 추가로 생산될 때 총비용의 증가분. 이 크기는 각 생산량 수준에서 총비용곡선의 기울기와 같다.
경제학
경제학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생계수단을 생산하고 획득하는 과정에서 타인들과 그리고 자연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이 상호작용 방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사회들마다 어떻게 다른지 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앨프리드 마셜(Alfred Marshall, 1842-1924)은 레옹 왈라스(Léon Walras)와 함께 신고전학파 경제학을 창시한 사람이다. 그의 <경제학원론>(Principles of Economics)은 1890년 처음으로 발간된 이래 50년 동안 영어권 학생들의 표준적인 기초 교과서로 자리 잡았다. 대단한 수학자이기도 했던 마셜은 시장과 기업의 작동방식을 미분을 사용하여 정식화함으로써 수요와 공급 분석의 새로운 기초를 제공했으며, 한계비용이나 한계효용과 같은 경제학의 핵심 개념을 사용하기도 했다.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라는 개념도 마셜로부터 유래한다. 그는 경제학을 “한 사람이 자신의 생계를 꾸려나가는 방식이 그의 삶의 질과 기조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려는 시도”라고 생각했는데, 이러한 관념은 이 책에서 우리가 내린 경제학 정의와도 매우 가깝다.1

아쉽게도 마셜의 글에 담긴 그의 지혜는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 무시되어 왔다. 마셜은 사실을 중시했다. 그는 대기업이 중소기업들에 비해 더 낮은 단위 비용으로 생산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이 점이 그의 사고에서 중요했지만, 이러한 생각은 신고전학파 경제학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아마도 평균비용곡선이 우하향하게 되면 일종의 승자독식 경쟁이 발생하게 되어 소수의 대기업이 승자가 되어 가격 설정 능력을 갖게 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이 문제를 7단원에서 이야기한 바 있다.

호모 이코노미쿠스
‘경제인’의 라틴어 표현이다. 이 용어는 전적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면서 의사결정을 한다고 가정되는 경제행위자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곤 한다.

Marshall은 호모 이코노미쿠스(4단원에서 그의 존재에 대해 문제제기를 했었다)가 신고전학파의 추종자들이 쓴 교과서에서 주인공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윤리의 힘은 경제학자들이 고민해야 하는 것들 중 하나이다. 윤리로부터 영향받지 않고 이기적으로 금전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제인의 행동과 관련한 추상적 과학을 구축하려는 시도가 실제로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그러한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경제학원론>(Principles of Economics), 1890)

그는 경제학에서 수학을 적극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동시에 수학을 잘못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수학에 경도되어 있던 동료 경제학자 볼리(A. L. Bowley)에게 쓴 편지에서 그는 자신의 “규칙”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1. 수학은 탐구의 엔진으로서가 아니라 속기 언어로 사용한다.
  2. 결과가 나올 때까지 수학을 계속 쓴다.
  3. 결과를 보통 쓰는 말로 바꾼다.
  4. 현실에서 중요한 사례들을 들어서 설명한다.
  5. 수학을 버린다.
  6. 4에서 성공하지 못하면 3을 버린다. “나는 이걸 자주 하곤 한다”.

마셜의 연구는 노동하는 사람들의 물질적 여건을 개선하고자 하는 바람에서 출발했다.

이제 우리는 마침내 소위 하층 계급이 존재할 필요가 있는지, 즉 타인들이 세련되고 교양있는 삶을 사는 데 필수적인 조건들을 제공하기 위해 태어나서부터 힘든 노동을 해야 하는 운명에 처한, 그러면서도 스스로는 가난과 고된 노동으로 인해 세련되고 교양있는 삶의 어떤 부분도 얻지 못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존재해야만 하는지를 진지하게 묻고 있다. … 이에 대한 답은 크게 보면 경제학의 영역에 속하는 사실들과 추론들에 달려 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경제학 연구에 가장 중요하고 고귀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경제학원론>(Principles of Economics), 1890)

확인문제 8.2 다음 중 옳은 것을 모두 골라라.

<위대한 경제학자들>에서 제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앨프리드 마셜에 대한 다음 진술을 읽고 옳은 것을 모두 골라라.

  • 앨프리드 마셜은 경제학이라는 분과 학문이 가난한 이들의 생활 수준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하기를 바랬다.
  • 앨프리드 마셜은 한계비용과 한계효용과 같은 개념들을 표현하기 위해 미분을 사용했다.
  • 앨프리드 마셜은 케인즈 학파 경제학자 중 한 사람이다.
  • 앨프리드 마셜은 수학이 경제학에서 가장 중요한 언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 그는 노동하는 사람들의 물질적 조건을 개선하는 데 경제학으로부터의 “사실과 추론”을 사용하는 것이야말로 경제학을 의미있게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이러한 개념들은 앨프리드 마셜의 중요한 기여 중 일부이다.
  • 그는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창시자였다.
  • 그는 경제학을 속기 언어로 활용했지만, 그것을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로 “번역”하고 적절한 현실 사례를 이용하여 논점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 Alfred Marshall. 1920. Principles of Economics (8th ed). London: MacMillan &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