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건설 현장에서 인부들이 비계를 설치하고 있다: YAY Media AS/Alamy Stock Photo
홍콩 건설 현장에서 인부들이 비계를 설치하고 있다.

경제학 2.0 미시경제학

이 책의 차례 — 미시경제학

  1. 서문
  2. 경제 2.0: 미시경제학>을 인용하려면
  3. 강의자를 위한 조언
  4. 경제학 2.0을 만든 사람들
  5. 그림 등 기타 자료 목차
  6. 이 책에서 사용될 수학에 대한 언급
  7. 용어집
  8. 1—번영, 불평등, 그리고 전지구적 한계들
    1. 1.1 14세기 이븐 바투타의 평평한 세상을 향한 여행
    2. 1.2 역사의 하키스틱
    3. 1.3 또 다른 하키스틱: 기후변화
    4. 1.4 세계의 소득불평등
    5. 1.5 지속적인 기술혁신
    6. 1.6 하키스틱 모양의 경제성장 그래프에서 평평한 부분에 대한 설명: 생산함수와 노동의 평균생산 체감
    7. 1.7 하키스틱 모양의 경제성장 그래프에서 평평한 부분에 대한 설명: 맬서스 함정, 인구 그리고 노동의 평균생산
    8. 1.8 자본주의적 제도
    9. 1.9 구조적 변화: 농장에서 기업으로
    10. 1.10 자본주의, 인과관계, 그리고 역사의 하키스틱
    11. 1.11 사례 분석: 인도의 생활수준이 낮아진 이유는 인도가 영국 식민지가 되었기 때문인가?
    12. 1.12 자본주의의 다양성: 제도, 정부 그리고 정치
    13. 1.13 경제학, 경제, 그리고 생물권
    14. 1.14 요약
    15. 1.15 참고문헌
  9. 2—기술과 인센티브
    1. 2.1 쿠트스마트(Kutesmart)의 맞춤형 양복 제작 자동화
    2. 2.2 경제적 의사결정: 기회비용, 경제적 지대 그리고 인센티브
    3. 2.3 비교우위, 특화 그리고 시장
    4. 2.4 기업, 기술 그리고 생산
    5. 2.5 역동적인 경제 모습을 모형화하기: 기술과 비용
    6. 2.6 역동적인 경제 모습을 모형화하기: 기술혁신과 이윤
    7. 2.7 값싼 석탄과 비싼 노동: 영국의 산업혁명과 새로운 기술 도입의 인센티브
    8. 2.8 경제모형: 적게 보면서 더 많은 것을 이해하는 방법
    9. 2.9 시장, 값싼 칼로리 그리고 면: 식민지, 노예제 그리고 영국의 산업혁명
    10. 2.10 성장: 맬서스 함정으로부터 탈출
    11. 2.11 자본주의 + 탄소 = 하키스틱 모양의 성장 + 기후변화
    12. 2.12 좋은 모형인가? 경제학자, 역사학자, 그리고 산업혁명
    13. 2.13 요약
    14. 2.14 참고문헌
  10. 3—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기 : 희소성, 웰빙, 그리고 노동시간
    1. 3.1 시간당 임금이 두 배로 오르면 노동시간은 줄어들까?
    2. 3.2 선택과 희소성 문제
    3. 3.3 재화와 선호
    4. 3.4 실행가능집합
    5. 3.5 의사결정과 희소성
    6. 3.6 노동시간과 기술진보
    7. 3.7 노동시간과 자유시간에서의 소득효과와 대체효과
    8. 3.8 좋은 모형인가?
    9. 3.9 노동시간과 시간에 따른 그 변화를 이해하기
    10. 3.10 응용: 노동시간, 자유시간, 그리고 불평등
    11. 3.11 노동시간 설명하기: 젠더와 노동시간
    12. 3.12 노동시간 설명하기: 국가간 차이
    13. 3.13 요약
    14. 3.14 참고문헌
  11. 4—전략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딜레마
    1. 4.1 기후 협상: 갈등과 공동의 이해관계
    2. 4.2 사회적 상호작용: 게임이론
    3. 4.3 쌀-카사바 게임에서 최적대응: 내시균형
    4. 4.4 우월전략균형과 죄수의 딜레마
    5. 4.5 결과를 평가하기: 파레토기
    6. 4.6 공공재게임과 협력
    7. 4.7 사회적 선호: 이타성
    8. 4.8 반복적 상호작용: 공공재게임에서의 사회적 규범, 호혜성, 그리고 동료 처벌
    9. 4.9 경제적 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의 활용
    10. 4.10 협력, 협상, 이해관계의 충돌
    11. 4.11 최후통첩게임: 파이를 나누기(또는 그대로 두기)
    12. 4.12 공정한 농부들, 이기적인 학생들? 최후통첩게임의 실험 결과
    13. 4.13 조정게임과 이해관계의 충돌
    14. 4.14 세계 기후변화 문제를 모형화하기
    15. 4.15 요약
    16. 4.16 참고문헌
  12. 5—게임의 규칙: 누가 무엇을 얻는가? 왜 그런가?
    1. 5.1 해적들의 경제학
    2. 5.2 제도와 권력
    3. 5.3 제도와 결과의 평가: 공정성
    4. 5.4 모형 만들기: 기술과 선호
    5. 5.5 제도, 그리고 자영 농부의 사례
    6. 5.6 사례 1: 강제노동
    7. 5.7 사례 2: 수락 또는 거부의 양자택일 계약
    8. 5.8 사례 3: 민주주의하에서의 교섭
    9. 5.9 사례 3 계속: 잉여의 파레토효율적 배분을 위한 협상
    10. 5.10 효율성과 공정성에 대한 제도의 영향에서 얻은 교훈
    11. 5.11 소득 분배: 초기부존, 기술, 그리고 제도
    12. 5.12 경제적 불평등 측정: 지니계수
    13. 5.13 응용: 잉여의 재분배와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정책
    14. 5.14 응용: 이해관계의 충돌과 임금, 오염, 일자리 협상
    15. 5.15 요약
    16. 5.16 참고문헌
  13. 6—기업과 노동자들
    1. 6.1 타이어 폭발의 미스터리가 밝혀지다
    2. 6.2 기업의 구조: 소유주, 경영자, 그리고 노동자
    3. 6.3 타인의 돈으로 경영하기: 소유와 통제의 분리
    4. 6.4 일자리 찾기와 빈자리 채우기
    5. 6.5 고용 및 퇴직에 관한 의사결정: 유보임금곡선
    6. 6.6 일을 하도록 하려면: 계약, 주인, 그리고 대리인
    7. 6.7 고용지대: 일자리 상실 비용
    8. 6.8 일자리상실비용 계산하기: 지대와 유보임금
    9. 6.9 노동자가 열심히 일하게 만들기: 노동규율모형
    10. 6.10 채용과 노동규율을 함께 보기: 임금설정모형
    11. 6.11 임금설정모델의 활용: 임금, 고용, 그리고 실업률
    12. 6.12 어떻게 고용주는 권력을 행사하는가?
    13. 6.13 응용: 최저임금제
    14. 6.14 응용: 또 따른 유형의 기업조직
    15. 6.15 요약
    16. 6.16 참고문헌
  14. 7—기업과 소비자
    1. 7.1 성공적인 브랜드
    2. 7.2 아침 시리얼: 가격 선택
    3. 7.3 규모의 경제와 대량 생산의 비용상 이점
    4. 7.4 생산과 비용: 뷰티풀 카의 비용함수 사례
    5. 7.5 수요, 탄력성, 그리고 수입
    6. 7.6 이윤을 극대화하는 가격과 수량 설정
    7. 7.7 거래이득: 잉여와 배분
    8. 7.8 가격설정, 경쟁, 그리고 시장
    9. 7.9 기업은 상품을 어떻게 차별화시키는가?
    10. 7.10 소수의 기업이 있는 시장: 전략적 가격 설정
    11. 7.11 장기평균비용이 체감하는 기업과 시장
    12. 7.12 시장지배력과 경쟁정책
    13. 7.13 요약
    14. 7.14 참고문헌
  15. 8—공급과 수요: 다수의 구매자와 판매자가 있는 시장
    1. 8.1 미국 남북전쟁이 어떻게 세계 면화가격을 급등시켰는가?
    2. 8.2 사고 팔기: 수요, 공급 그리고 시장청산 가격
    3. 8.3 경쟁균형과 가격수용자
    4. 8.4 경쟁균형과 기업
    5. 8.5 경쟁균형에서의 거래를 할 때 얻게 되는 이득: 배분과 분배
    6. 8.6 수요와 공급의 변화
    7. 8.7 단기균형과 장기균형
    8. 8.8 응용 사례: 원유시장에서의 시장동학
    9. 8.9 경쟁이 작동하는 방식: 카르텔 조정 게임을 경쟁적 죄수의 딜레마 게임으로
    10. 8.10 공급, 수요, 그리고 경쟁균형: 이 모형은 좋은 모형인가?
    11. 8.11 응용 사례: 가격에 대한 정보가 중요한 이유
    12. 8.12 조세의 효과
    13. 8.13 가격통제
    14. 8.14 요약
    15. 8.15 참고문헌
  16. 9—빌리는 사람, 빌려주는 사람 그리고 부의 격차
    1. 9.1 샴바 대부업자들의 역할
    2. 9.2 소득과 부
    3. 9.3 차입: 미래 소비를 현재로 가져오는 방법
    4. 9.4 차입의 이유: 현재 소비의 가치
    5. 9.5 응용: 미래가치 할인, 외부효과와 지구의 미래
    6. 9.6 대부와 보관: 소비를 미래로 넘기기
    7. 9.7 투자: 소비를 미래로 옮기는 또 다른 방법
    8. 9.8 차입과 대출로 가능해진 이익을 둘러싼 갈등
    9. 9.9 차입자와 대부자: 주인-대리인의 문제
    10. 9.10 불평등: 대부자, 차입자 그리고 신용시장으로부터 소외된 사람들
    11. 9.11 모형은 얼마나 유용한가?
    12. 9.12 제한된 부를 가진 사람들이 처한 가난의 함정
    13. 9.13 응용: 부유하지 못한 이들의 위험 노출을 줄일 수 있는 정책들
    14. 9.14 요약
    15. 9.15 참고문헌
  17. 10—시장의 성공과 실패: 사적 의사결정의 사회적 효과
    1. 10.1 바나나, 물고기, 그리고 암
    2. 10.2 오염의 외부효과: 사적 그리고 사회적 비용과 편익
    3. 10.3 문제 해결: 사적 협상과 재산권
    4. 10.4 문제 해결: 규제, 조세, 그리고 보상
    5. 10.5 외부효과: 더 많은 사례와 진단
    6. 10.6 공공재, 비경합성, 그리고 배제성: 라디오 방송 모형
    7. 10.7 공공재와 공공비재화, 개방자원, 그리고 공유자원
    8. 10.8 정보의 비대칭성: 주인–대리인 관계, 감춰진 행동, 그리고 불완비계약
    9. 10.9 감춰진 행동과 위험: 보험과 신용 시장의 시장실패
    10. 10.10 정보의 비대칭성: 감춰진 속성과 역선택
    11. 10.11 시장의 한계
    12. 10.12 요약
    13. 10.13 참고문헌
  18. Looking forward to economics after The Economy 2.0
  19. 참고문헌
  20. Copyright acknowledgements
  21.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