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단원 게임의 규칙: 누가 무엇을 얻는가? 왜 그런가?
경제에서 사람들이 상호작용을 할 때, 제도는 결과의 공정성과 효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들어가기 전에
이 단원은 4단원에서 다룬 경제적 상호작용 모형을 바탕으로 논의가 전개된다. 아직 4단원을 학습하지 않았다면, 최소한 4.2절에서 4.4절까지 소개되고 있는 게임이론을 소개하는 부분, 4.5절 의 파레토기준과 파레토효율성에 관한 부분, 그리고 4.11절 의 최후통첩게임을 소개하는 부분은 읽어야 한다.
또한 이 단원에서 전개하는 모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3.2절에서 3.5절까지 에서 설명한 무차별곡선 및 실행가능집합을 이용한 제약하에서의 선택 문제를 푸는 방법을 익히고 있어야 한다.
5.1 해적들의 경제학
어쩌면 여러분의 먼 조상 중 한 명은 블랙비어드(Blackbeard)나 캡틴 키드(Captain Kidd)와 같은 해적과 함께 배를 타고 항해하는 것이 돈을 버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누구라도 바살러뮤 로버츠(Bartholomew Roberts) 선장이 지휘하는 해적선 <로열 로버호>(Royal Rover)의 일원이 되려면 해적선의 서면 헌법에 동의해야 했다. 그림 5.1이 보여주는 것처럼 ‘<로열 로버호>의 규약’이라는 서면 문서는 해적들의 행동 규칙과 해적들이 보장받았던 여러 권리들을 명시하고 있다.1
그림 5.1 ‘<로열 로버호>의 규정’의 예
Peter T. Leeson. 2007. ‘An-arrgh-chy: The Law and Economics of Pirate Organization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15 (6): pp. 1049–94.
<로열 로버호>와 그 규정은 이 배에만 해당하는 특별한 것이 아니었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반의 유럽 해적시대의 전성기 동안, 대부분의 해적선에는 선원들에게 더 많은 권한을 보장해 주는 서면 규약이 있었다. 선장들은 민주적인 방식으로 선출되었다(규약에 따르면 “다수에 의한 투표로 선장의 지위를 획득함”이라고 되어 있다). 선장들 투표로 해임되기는 경우도 많았는데, 그 이유 중 하나가 전투에서 보인 비겁함이었다. 선원들도 자신들 중 한 명을 갑판수로 선출하였으며, 이렇게 선출된 갑판수는 전투 중이 아닐 때는 선장의 명령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누군가 해적선에서 망을 보는 역할을 했고 이후에 전리품으로 포획될 배를 최초로 발견했다면, “배당금에 더해, 배에 있는 최고의 권총 한 쌍”을 보상으로 받았다. 만약 전투 중에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면, 규정에 따라 부상에 대한 보상이 보장되었다. 선원들은 다인종, 다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 선원들은 약 4분의 1이 아프리카 출신이었고 나머지는 주로 미국인을 포함한 유럽계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결과, 해적 선원들은 때로는 긴밀한 유대감을 형성한 집단이 되었다. 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당시 한 관찰자는 해적들이 “사악하게 단결하고 있고, 규약으로 단단히 결속되어 있다”고 말했다. 해적선에 포획된 상선의 선원들도 종종 자신들을 납치한 해적들의 “악당 공화국”에 기꺼이 합류했다.
또 다른 논평자는 “우리가 인류의 수치라고 … 부르는 이 사람들은 모든 악에 물들었으면서도… 자기들끼리는 철저히 정의로웠다”고 불만스럽게 말했다. 만약 이 해적들이 최후통첩게임(4.11절)의 응답자였다면, 그들은 파이의 절반 이하의 제안을 거부했을 것이다!
-
Peter T. Leeson. 2007. ‘An–arrgh–chy: The Law and Economics of Pirate Organiza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15 (6): pp. 1049–9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