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단원 기업과 소비자
7.13 요약
-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은 제품의 수요곡선과 비용함수를 고려하여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하는가격과 생산량을 선택한다. 이들은 한계생산비용보다 높은 가격을 설정한다.
- 대규모 생산이 가져다주는 기술적 및 비용적 이점은 대기업에 더욱 유리하다.
- 기업들은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에 직면하지만, 일부 비용은 단기에만 고정된다.
- 수요곡선은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지불용의가격을 반영한다.
- 가격 변화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성은 수요의 탄력성으로 측정된다. 기업이 경쟁에 직면하지 않을 경우, 수요곡선의 가격탄력성은 낮아지며, 한계비용을 초과하는 가격 마크업은 높아진다.
- 시장거래로부터 창출되는 이득은 소비자와 기업 소유주 간에 분배되며, 한계비용을 초과하는 가격은 사회에 자중손실을 초래한다.
- 기업은 제품 선택, 혁신, 광고를 통해 제품을 차별화하고 대규모의 이점을 활용하여 이윤을 증대할 수 있다.
- 경쟁자가 적은 기업은 자사의 결정이 경쟁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가격을 설정한다.
- 정책입안자들은 경쟁정책을 사용하여 시장지배력과 자중손실을 줄이고, 사회를 위해 개선된 결과를 추구한다.
7단원에서 소개되고 적용된 개념 및 모형
- 기업의 비용함수: 총비용, 고정비용, 가변비용; 평균비용 그리고 한계비용; 자본의 기회비용
- 단기비용, 그리고 장기비용; 외생변수와 내생변수
- 차별화된 제품의 수요곡선: 지불용의가격, 수요의 가격탄력성
- 수입과 이윤(즉 경제적 이윤), 정상이윤; 등이윤곡선; 한계수입 그리고 이윤폭
- 생산규모: 규모의 경제, 규모의 불경제; 규모수익체증, 규모수익불변, 그리고 규모수익체감; 네트워크 규모의 경제
- 거래이득 (또는 교환이득) 측정하기: 총잉여, 소비자잉여, 그리고 생산자잉여; 자중손실
- 경쟁과 시장지배력: 대체재, 시장점유율; 마크업, 이윤폭; 독점과 자연독점; 경쟁정책(또는 반독점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