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단원 공급과 수요: 다수의 구매자와 판매자가 있는 시장

8.3 경쟁균형과 가격수용자

균형가격
이 용어는 재화의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는 가격, 즉 시장이 균형을 이루는 가격을 가리킨다(때로는 시장청산가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수요 공급 모형 말고 다른 모형의 균형 상태에서의 가격 수준을 지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시장청산가격을 참조하라.
균형
균형은 스스로 지속되는 상황이나 모형의 결과이다. 균형에 도달했다면, 외적인 교란 요인이 작동하지 않는 한, 더 이상 변화는 없다. “외적인 교란 요인”이란 모형 외부에서 결정되는 요인들을 말한다.
초과공급
현재 가격에서 수요량보다 공급량이 더 큰 상태. 이와 관련하여 초과수요를 참조하라.
경쟁균형
현행 가격에서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고, 모든 판매자와 구매자가 가격수용자일 때 이 시장은 경쟁 균형 상태에 있다. 경쟁균형에서는 누구도 다른 가격에서 거래를 시도함으로부터 이득을 얻지 못한다.
가격수용자
구매자나 판매자가 현행 시장가격말고 다른 가격에서 거래함으로써 더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없다면 그 구매자나 판매자는 가격수용자로 행동하는 것이다. 가격수용자는 시장 가격에 영향을 미칠 능력이 없다. 단지 현행 가격하에서 자기가 원하는 만큼 사고 파는 것만 가능하다.

마셜은 시장청산가격을 균형가격이라고 불렀다. 우리는 중고 교과서 시장은 P* = 8에서 균형에 있다고 말한다. 일상 용어로 말하자면 어떤 상태에 가해지는 힘이 같아균형을 이룰 때 그래서 그 상태가 변하지 않는 채로 유지될 때 그 상태를 균형 상태라고 부른다. 즉, 구매자와 판매자의 행동이 사고 팔리는 재화의 양이나 가격을 변화시키는 경향을 낳지 않을 때 시장은 균형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림 8.4는 시장 청산 가격 P*가 더 이상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유일한 가격임을인지를 보여준다.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가격)로 표시할 것이다. P의 범위는 0에서 25까지이다라고 하자.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를 출발해서 (24, 8)을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이 공급곡선이다. (0, 20), (40, 0)을 잇는 우하향하는 직선이 수요곡선이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은 A점에서 교차한다. $8보다 높은 가격에서는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의 수가 더 많다. $8보다 낮은 가격에서는 팔겠다는 사람보다 사겠다는 사람의 수가 더 많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3-competitive-equilibrium-price-taking.html#그림-8-4

그림 8.4 중고 교과서 시장에서의 균형

시장청산가격: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가격)로 표시할 것이다. P의 범위는 0에서 25까지이다라고 하자.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를 출발해서 (24, 8)을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이 공급곡선이다. (0, 20), (40, 0)을 잇는 우하향하는 직선이 수요곡선이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은 A점에서 교차한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3-competitive-equilibrium-price-taking.html#그림-8-4a

시장청산가격

시장청산 가격은 P* = 8이다. 이 가격에서는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한다. Q* = 24.

가격이 시장청산가격보다 높을 때: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가격)로 표시할 것이다. P의 범위는 0에서 25까지이다라고 하자.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를 출발해서 (24, 8)을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이 공급곡선이다. (0, 20), (40, 0)을 잇는 우하향하는 직선이 수요곡선이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은 A점에서 교차한다. $8보다 높은 가격에서는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의 수가 더 많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3-competitive-equilibrium-price-taking.html#그림-8-4b

가격이 시장청산가격보다 높을 때

가격이 $8보다 높을 때 교과서에 대한 초과공급이 발생한다. 더 많은 학생들이 책을 팔고자 하나 이들 중 일부는 구매자를 찾을 수 없다. 이들은 책을 팔기 위해 가격을 낮추려고 할 것이다.

가격이 시장청산가격보다 낮을 때: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가격)로 표시할 것이다. P의 범위는 0에서 25까지이다라고 하자.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를 출발해서 (24, 8)을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이 공급곡선이다. (0, 20), (40, 0)을 잇는 우하향하는 직선이 수요곡선이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은 A점에서 교차한다. $8보다 높은 가격에서는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의 수가 더 많다. $8보다 낮은 가격에서는 팔겠다는 사람보다 사겠다는 사람의 수가 더 많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3-competitive-equilibrium-price-taking.html#그림-8-4c

가격이 시장청산가격보다 낮을 때

가격이 $8보다 낮으면 교과서에 대한 초과수요가 발생한다. 팔려는 학생들보다 사려는 학생들이 더 많다. 일부 구매자들은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서라도 책을 팔겠다는 사람을 찾고 싶어할 것이다. 이때 판매자들은도 가격을 올려 이득을 볼 수 있다.

균형가격과 균형수량: 이 그림에서 가로축에는 책의 수량을 Q로 표시할 것이다. Q의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에는 달러($)로 표시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가격)로 표시할 것이다. P의 범위는 0에서 25까지이다라고 하자. 각 좌표는 (책의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2)를 출발해서 (24, 8)을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이 공급곡선이다. (0, 20), (40, 0)을 잇는 우하향하는 직선이 수요곡선이다.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은 A점에서 교차한다. $8보다 높은 가격에서는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의 수가 더 많다. $8보다 낮은 가격에서는 팔겠다는 사람보다 사겠다는 사람의 수가 더 많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3-competitive-equilibrium-price-taking.html#그림-8-4d

균형가격과 균형수량

어떤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 경우는 P* = $8일 때 뿐이다. 이 가격에서는 그 가격에서 팔고자 하는 모든 판매자들은 구매자를 만나고, 그 가격에서 사고자 하는 모든 구매자들은 판매자를 만난다. 어느 누구도 가격을 변화시키기를 원하지 않는다. 시장은 균형에 있다. 이 때 균형수량은 Q* = 24이다.

중고 교과서 시장이 모두 균형에 있는 것은 아니다. 균형조건이 충족되지 않아는 경우, 자동가격설정 알고리즘이은 책 한 권의 가격을 2천3백만 달러까지 상승시킨 적도 있었켰다. 생물학자 마이클 아이젠(Michael Eisen)은 바로 이러한 상황을 목격했다. 높은 평점을 받고 있던 판매자 두 사람이 아마존 중고 거래장터에 당시 절판되었지만 고전으로 간주되고 있는 책인 <초파리의 구조>(The Making of a Fly)를이 아마존에서 중고 판매상품으로 올리면서라올 때 유명한 판매자 두 사람이 출발 가격을 $1,730,045.91($3.99 배송비 별도)로 설정했다.한 것을 목격했다. 그리고는 그는 그 다음 주 가격이 급격히 상승해하면서, 급기야는 최고점에서 $23,698,655.93를 기록했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는 곧바로 가격은 $106.23으로 곤두박질쳤다. 아이젠은 자신의 블로그에서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를 설명했다.

초과수요
현재 가격에서 공급량보다 수요량이 더 큰 상태. 이와 관련하여 초과공급을 참조하라.

그림 8.4를 보면 현행 가격이 P*보다 낮으면 교과서에 대한 초과수요가 발생하고, P*보다 높으면 교과서에 대한 초과공급이 발생한다. P*보다 높거나 낮은 가격대에서 형성되면 일부 판매자나 일부 구매자들은 다른 가격으로에서 거래함으로써 더 나아질 수 있다. 반면 P*에서는 그 가격대에서 팔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팔 수 있고 그 가격대에서 사고자 하는 사람은 모두 살 수 있으며, 더 이상 변화 경향이 없다.

경쟁균형

마셜의 수요 공급 모형은 동일한 재화를 거래하는 수많은 구매자와 판매자로 이루어진 시장에 적용할 수 있다. “‘수많은”’ 구매자와 판매자라는 조건은 중요한데, 한 개인이 사거나 팔 수 있는 수량은 시장 전체 거래량에 비교했을 때 무시할 정도로 작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 조건은 거래되는 모든 재화가 동질적이라는 조건과 함께 균형에서 어떤 개인도 시장 가격을 변화시킬 능력을 갖고 있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조건이다. 이 조건하에서 현행 가격에서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만큼 재화를 사거나 팔 수 있고, 현재 특정한 판매자 혹은 구매자와의 거래조건이 만족스럽지 않다면 언제든 다른 거래 상대를 찾을 수 있다. 즉 경쟁은 시장에서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의 협상력을 없앤다.

따라서 개인이 할 수 있는 것은 현재 균형 가격에서 거래하는 것 뿐이다. 예를 들어 교과서 시장의 균형에서 학생들은 교과서에 대해 $8 이상의 가격을 부르는 판매자와는 거래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8의 가격으로 교과서를 팔겠다는 판매자를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판매자는 가격을 낮추는 것이 이득이 되지 않는데,춤으로써 이득을 얻을 수도 없다. $8에서도 교과서를 사겠다는 사람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내시균형
내시균형은 관련된 개인들 중 어느 누구도 자신의 행동을 일방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자신이 선호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없는 경제적 결과이다. 수학적으로 말하자면, 게임 이론에서 내시균형은 게임의 각 참여자의 전략들의 쌍으로 정의되며, 내시균형을 이루는 전략쌍에서 각 참여자의 전략은 다른 모든 참여자들이 선택한 전략들에 대한 최적대응이다. 이와 관련하여 게임이론을 참조하라.

이 상황을 가리켜에서 시장은 경쟁균형 상태에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때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가격수용자로 행동한다.

경쟁균형은 일종의 내시균형이기도 하다. 다른 사람들의이 하고 있는 행동이 주어진 상태에서, 어떤 행위자도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행동(즉 균형 가격에서 거래하는 것)을 계속 유지하는 것보다 더 나은 선택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수많은 구매자가 존재할 때 구매자들은 가격수용자가 되고, 동질적인 상품을 공급하는 수많은 판매자들이 있을 때 판매자들도 가격수용자가 된다. 그림 8.5는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 가격수용자로 행동하는 경쟁균형을 우리가 7단원에서 이야기한 차별화된 제상품 시장에서의 균형과 비교하고 있다.

차별화된 제품생산물 시장. 예를 들어 치리오스(Cheerios) 한 명의 판매자 가격설정자 유사 제품과의 경쟁이 있지만 치리오스를 판매하는 기업은 하나뿐이다. 판매자는 가격을 변화시키더라도 여전히 구매자를 유인할 수 있다.
다수의 구매자 가격수용자 어느 한 구매자가 더 낮은 가격을 원하면 판매자는 이 거래를 수락하지 않을 것이다. 그 말고도 그 가격에 구매할 용의가 있는 수많은 다른 구매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경쟁균형 시장. 예를 들어 중고 교과서 시장 다수의 판매자 가격수용자 어느 판매자라도 가격을 $8 이상으로 올리면 그 판매자들의 교과서는 팔리지 않을 것이다. 구매자들은 다른 판매자를 찾아갈 것이다. 판매자들 입장에서에게는 가격을 $8 이하로 낮추는 것도 이득이 되지 않는다.
다수의 구매자 가격수용자 어느 한 구매자가 $8 이하를 지불하겠다고 하면 이를 수락할 판매자는 없을 것이다. 쉽게 다른 구매자를 찾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구매자들 입장에서에게는 가격을 $8 이상으로 부르는 것도 이득이 되지 않는다

그림 8.5 판매자와 구매자, 가격수용자와 가격설정자

다수의 구매자와 판매자가 존재하는 시장은 경쟁균형에 도달할까?

마셜이 주장했던 것처럼 중고 교과서 시장에서도중고 교과서 시장에서 우리는 마셜과 마찬가지로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지 않으면 구매자와 판매자는가 균형에 도달할 때까지 가격 조정을 시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제학자들은 실험을 통해실에서 판매자와 구매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가격이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는 방향으로 조정되는지를 연구해왔확인하고자 했다. 이러한 실험은 1948년 처음으로 진행되었다. 에드워드 챔벌린(Edward Chamberlin)은 하버드 대학교 학생들을 모은 뒤 각 개인들을 “구매자” 혹은 “판매자”로 지정하고 이들에게 각자의 지불용의 가격 혹은 수락용의 가격이 달러로 적힌 카드를 한 장씩 나눠주었다. 학생들은 그 카드에 적힌 지불용의 가격 혹은 수락용의 가격을 바탕으로 다른 학생들과 협상을 진행했고, 챔벌린은 거래가 이루어졌을 때 그 내용을 기록했다. 그는 균형 수준과 비교했을 때 가격은 이보다 낮고 거래량은 이보다 높은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챔벌린은 매년 이 실험을 반복했다. 버넌 스미스(Vernon Smith)는 1952년 진행된 실험에 참여했던 학생 중 한 사람이기도 했었는데, 후에 자신도 이와 유사한 실험을 진행했고, 그 결과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스미스는 게임의 규칙을 바꿔 참가자들에게 실험 과정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했다. 구매자와 판매자들은 자신들이 제안하고자 하는 가격 혹은 수락하고자 하는 가격을 소리 내어 말했다. 그 제안을 들은 사람 중 누구라도 그 제안에 따라 거래를 하겠다고 하면 거래가 일어나고, 거래를 마치면 두 사람은 시장으로부터 퇴장했다. 또한 스미스의 게임에서는 참가자들이매 회차 때마다 동일한 카드를 갖들고 이 게임을 여러 차례 반복하도록 했다.

그림 8.6이 그가 얻은 결과이다. 11명의 판매자들이 있었는데 이들의 유보가격은 $0.75 이상 $3.25 이하 범위에 있었고, 구매자 11명의 WTP도 같은 범위 내에 있었다. 그림은 이들의 유보가격과 WTP로부터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을 그린 것이다. (구매자와 판매자가 각각 11명밖에 안 되었기 때문에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매끄러운 형태로 나타나지 않고 단계마다 꺽인 선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을 보면 균형에서 $2의 가격으로 6건의 거래가 일어나야 했다.났다. 참가자들은 다른 사람들의 카드에 적힌 가격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참가자들은 이 균형가격과 수량이 얼마인지를 사전에몇 건의 거래가 일어났는지는 참가자들은 알 수 없었다. 그림의 우측에는 매 거래가 얼마의 가격에서 일어났는지를 보여준다. 1회차에는 5건의 거래가 일어났는데, 모든 거래는 $2보다 낮은 가격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다가 5회차에 이르면 $2에 가까운 가격에서 대부분의 거래가 이루어졌고, 거래량도 6건으로 균형 수량과 같았다.

두 개의 그림이 있다. 첫 번째 그림에서 가로축은 수량이다. 범위는 0에서 12까지이고 1씩 증가한다. 세로축은 달러로 표시된 가격인데, 범위는 0에서 4까지이다. 각 좌표는 (수량, 가격)으로 해석하면 된다. (0, 4), (0, 3.3), (1, 3.3), (1, 3), (2, 3), (2, 2.7), (3, 2.7), (3, 2.5), (4, 2.5), (4, 2.2), (5, 2.2),  (5, 2), (6, 2), (6, 1.8), (7, 1.8), (8, 1.5), (8, 1.2), (9, 1.2), (9, 1), (10, 1), (10, 0.8), (11, 0.8), (11, 0)을 잇는 계단식 함수가 수요곡선이다. (0, 0), (0, 0.8), (1, 0.8), (1, 1), (2, 1), (2, 1.2), (3, 1.2), (3, 1.5), (4, 1.5), (4, 1.8), (5, 1.8), (5, 2), (6, 2), (6, 2.2), (7, 2.2), (7, 2.5), (8, 2.5), (8, 2.7), (9, 2.7), (9, 3), (10, 3), (10, 3.3), (11, 3.3), (11, 4)를 잇는 계단식 함수가 공급곡선이다. 두 번째 그림에서 가로축은 5회차 동안 각각의 회차에서 몇 건의 거래가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준다. 1회에서 3회까지는 각각 5건의 거래가 이루어졌고, 4회차에는 7건의 거래가 이루어졌다. 5회차에는 6건의 거래가 일어났다. 세로축은 각 거래가 얼마의 가격에서 성사되었는지를 나타낸다. 범위는 0에서 4이다. 가격은 $1.8 주위에서 변동하다가 3회차 3번째 거래 이후부터 마지막 거래까지는 $2 주위에서 변동하기 시작한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8-supply-demand-03-competitive-equilibrium-price-taking.html#그림-8-6

그림 8.6 버넌 스미스의 실험 결과

Vernon L. Smith. 1962. ‘An Experimental Study of Competitive Market Behavior’.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70 (3) (January): p. 322.

스미스의 실험은 타인과의 거래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를 갖고 있는 충분한 수의 구매자와 판매자가 있다면, 재화가 동질적인 경우 경쟁균형 모형을 시장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회차에서조차 결과는 균형에 상당히 가깝게 근접해 있었고, 이후 반복되면서 이어지는 회차들에서 참가자들이 수요와 공급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하게 됨에 따라 이들의 행동은 빠른 속도로 균형을 수렴했다.

연습문제 8.2 가격수용자

자주 구입하는 재화 하나를 생각해보라. 예를 들어 식료품이어도 좋고 옷이나 교통티켓 혹은 전자제품이어도 좋다.

  1. 이 재화의를 판매자들은 충분히 많은가?
  2. 이 재화를 구입하려 할 때 어떤 요인이 여러분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예를 들어 대개 가장 낮은 가격으로 그 재화를 파는 판매자를 찾으려고 하는가? 아니면 그것 말고 다른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들이 있는가?
  3. 방금 답한 1과 2의 답변을 이용하여 그 재화의 판매자가 가격수용자일지 여부를 판단해보라.
  4. 구매자로서 여러분은 이 재화의 가격수용자인지 아닌지를 설명해보라. 구매자들이 가격수용자가 아닌 재화의 예를 몇 개 들어 보라.

확인문제 8.3 다음 중 옳은 것을 모두 골라라.

아래 그림은 어느 한 교과서의 수요, 공급 곡선이다. 두 곡선은 (Q*, P*) = (24, 8)에서 교차한다. 이 정보를 토대로 다음 진술을 읽고 옳은 것을 모두 골라라.

이 그림에서 가로축은 책의 수량을 Q로 나타내는데 그 범위는 0에서 45까지이다. 세로축은 달러로 표시된 판매자의 유보가격을 P(가격)으로 나타내고 있다. 범위는 0에서 25까지이다. 좌표들은 (책의 수량, 가격)으로 읽는다. (0, 2)에서 출발하여 A점, 즉 (24, 8)을 지나는 우상향하는 직선이 공급곡선이다. (0, 20)과 (40, 0)을 잇는 우하향하는 직선을 수요곡선이라 부른다. 두 곡선은 A점에서 만난다.
전체화면
  • 가격이 $10일 때 이 교과서에 대해 초과수요가 존재한다.
  • 가격이 $8일 때, 판매자는 판매가격을 $9로 올리면 이득을 볼 것이다.
  • A점은 일종의 내시균형이다.
  • 판매되는 책이 총수량은 수요의 최대값(40권)에 의해 결정된다.
  • 가격이 $10일 때 가격은 균형 가격인 $8보다 높다. 이 때 교과서에 대한 초과공급이 존재한다.
  • 가격이 $8일 때, WTP가 $8 이상인 구매자들은 모두 WTA가 $8 이하인 판매자들과 만날 것이다. 판매자 중 누구라도 $9로 올리면 구매자들은 그 이외에 $9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하고자 하는 다른 판매자들을 찾을 수 있다.
  • A점에서 수요량은 공급량과 일치한다. 즉 시장이 청산된다. 여기서 어떤 구매자도 어떤 판매자도 현재 자신들의 행동을 변화시킬 유인이 없다. 즉 이 상황은 일종의 내시균형이다.
  • 수요의 최대치는 40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 16명은 그들의 지불용의 가격이 시장청산 가격 수준인 $8보다 낮은 관계로 거래를 완료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