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단원 기업과 소비자

7.12 시장지배력과 경쟁정책

7.7절에서는 기업이 한계비용보다 높은 가격을 책정할 때, 시장 결과가 파레토효율적이지 않으며 자중손실이 발생함을 보였다. 시장지배력은 비용 우위나 경쟁 제품과의 차별화 전략 등에서 비롯될 수 있다. 경제학자 얀 에크하우트(Jan Eeckhout)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1980년대 이후 시장지배력이 꾸준히 증가해왔고, 이는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는 우리가 시급히 경쟁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경쟁정책, 반독점정책
시장지배력을 제한하고 카르텔을 방지하거나 경쟁과정을 규제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과 법률을 통틀어 경쟁정책 또는 반독점정책이라고 한다.

시장지배력을 낮추고 경쟁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 정책은 경쟁정책 또는 반독점정책으로 불린다. 경쟁당국은 기업이 시장에서 경쟁자들의 활동을 제한함으로써 소비자와 사회 전반의 이익이 잠재적인 수준보다 낮아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 조사에 착수한다. 이러한 상황은 일반적으로 한두 개의 지배적인 기업이 높은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시장에서 발생한다. 단, 경쟁당국은 기업이 시장지배력을 남용할 능력과 유인이 있다고 결론을 내릴 때에만 개입을 한다.

기업들은 경쟁의 강도와 수요의 탄력성에 영향을 미쳐 경쟁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2008년 영국의 식료품 시장 조사에서는 슈퍼마켓들이 다른 소매업체들이 시장에 진입하거나 확장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방해하기 위해 토지를 매입한 후 다른 소매업체들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방치한 것을 발견했고, 계획법을 변경하여 이와 같은 행위를 방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기업들은 생산투입요소에 대한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경쟁자를 배제할 수 있다. 2014년, 초콜릿 제과 시장의 선두주자인 페레로(Ferrero)는 공급업체 중 하나인 올탄(Oltan)을 인수하면서 헤이즐넛(누텔라(Nutella)의 핵심 재료)의 세계 최대 생산자가 되었다. 이에 대해 유럽 경쟁당국은 다른 공급업체가 충분히 존재하므로 경쟁이 유지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인수를 승인했다.

특허와 지적재산권도 생산의 투입물인 아이디어에 대한 독점권을 제공한다. 특허는 기업에 일시적인 시장지배력을 부여함으로써 연구개발을 장려한다. 특허가 만료되면, 경쟁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약산업에서는 특허가 만료된 후에 제네릭 의약품이 생산될 수 있어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경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디지털 시장에서의 경쟁이 경쟁정책을 연구하는 경제학자들에 의해 어떻게 분석되는지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2024년에 출간될 예정인 CORE Econ Digital Markets Insight를 참고할 수 있다.

경쟁 기업이 소비자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도 배제적 행동이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자사 윈도우 운영체제에 웹 브라우저가 탑재되지 못하도록 막음으로써 넷스케이프(Netscape)와 같은 경쟁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이 충분한 고객을 확보하지 못하도록 한 혐의로 미국과 유럽연합의 반독점당국에 의해 조사를 받았다.1 오랜 조사 끝에 마이크로소프트는 사업 모델을 변화시켜야했고 수백만 달러의 벌금이 부과되었다. 그 결과 브라우저 시장이 발전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림 7.27이 보여주듯이, 경쟁은 역동적이다. 현재는 구글 크롬(Google Chrome)이 상당한 시장지배력을 가지고 있다. 경쟁정책은 종종 뒤쳐진 상태에서 꽁무니를 쫓는 데 그치기도 한다.

이 선형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2009년부터 2023년까지의 연도를 나타낸다. 세로축은 전 세계 인터넷 브라우저들의 시장점유율을 나타낸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 안드로이드, UC 브라우저, 삼성 인터넷, 엣지 레거시의 시장점유율은 2017년 이후로 0%에서 4% 사이로 수렴한다. 기타 브라우저의 시장점유율은 2011년 약 5%에서 2021년 약 15%로 증가했다. 크롬(Chrome)의 시장점유율은 2011년 약 10%에서 2021년 약 60%로 증가했다.
전체화면
https://www.core-econ.org/microeconomics/ko/07-firm-and-customers-12-influencing-market-power.html#그림-7-27

그림 7.27 전 세계 브라우저의 시장점유율(2009–2022)

이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메타(페이스북)가 지난 수십 년 동안 인수한 기업들에 대한 인포그래픽을 볼 수 있다.

경쟁을 줄이는 또 다른 방법은 다른 기업들과 합병하는 것이다. 메타(페이스북)는 인스타그램과 왓츠앱을 등 다른 기업을 인수함으로써 제품 생태계에서 시장지배력을 강화했다. 경쟁당국은 이러한 합병으로 인한 잠재적 피해를 조사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그리고 네트워크 경제로 인한 비용 절감과 소비자 혜택이 경쟁 감소가 가져올 잠재적 폐해를 능가한다고 판단하기도 한다. 경제학자들은 경쟁당국이 이러한 합병을 허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영향을 더 넓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카르텔을 형성하여 다른 기업들과 담합하는 것은 합병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며, 이때 기업들은 마치 독점처럼 행동하게 된다. 카르텔은 대부분 국가의 경쟁법 하에서 불법이지만, 담합을 입증하는 것은 어렵다. 가장 유명한 카르텔 중 하나인 OPEC과 그로 인한 유가 변동의 역학에 대해서는 8.8절에서 더 자세히 배우게 될 것이다.

주요 시리얼 브랜드들은 소매점에 비용을 지불하여 시리얼 진열대를 장악하고, 기업들은 온라인 검색에서 상위에 표시되기 위해 구글에 비용을 지불한다. 많은 소비자들은 애플 제품을 한 가지 이상 보유하고 있다. 아이폰에서 안드로이드폰으로 변경하면 기기 간 연결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변경하는 것이 덜 매력적이다.

기업은 또한 광고를 통해 브랜드를 강화하거나, 제품 배치를 조정하거나, 상호 연결된 제품을 만듦으로써 고객의 가격 민감성을 낮추고 시장지배력을 획득할 수 있다.

자세한 논의를 위해, 2024년에 출간될 예정인 CORE Econ Insight on Digital Markets를 참조하면 좋다. 각국에서 디지털 시장 규제 제안이 어떻게 개발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2021년 12월 OECD 보고서에 설명되어 있다.

경쟁당국은 기업의 전략이 초래할 수 있는 모든 잠재적 피해와 이익을 사례별로 평가해야 한다. 매우 큰 규모의 비용 우위가 있는 자연독점의 경우, 적절한 정책 대응은 철저한 가격 규제나 혹은 경우에 따라서는 공공이 소유하는 것일 수 있다. 플랫폼 기업들은 규모와 네트워크 효과로 인해 자연독점과 유사한 특성을 지니면서도, 이 플랫폼을 이용하는 많은 광고주와 소매업체들이 고객에게 접근하는 경쟁을 창출하는 효과도 존재하기 때문에 정책 입안자들에게 딜레마를 안겨주고 있다. 이들 기업을 어떻게 규제해야 할지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연습문제 7.6 디지털시장에서의 시장지배력 그리고 경쟁정책

디지털시장에서의 경쟁 이슈에 대한 이 인터뷰를 읽어보라. 이 정보를 토대로 옳은 것을 모두 골라라.

  1. 디지털시장은 경쟁정책에 어떠한 고유한 과제를 제기하는가? (디지털시장에서 운영되는 기업이나 그들이 공급하는 제품이 이 단원에서 논의한 “전통적인” 기업의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 생각해 보면 도움이 될 수 있다.)
  2. 당국은 디지털시장에서 기업의 행동을 규제하기 위해 어떤 종류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가? 이러한 조치는 디지털시장이 아닌 곳에서 기업의 행동을 규제하기 위해 취하는 접근 방식과 어떻게 다른가?

확인문제 7.15 다음 중 옳은 것을 모두 골라라.

작은 마을에 다국적 소매업체가 새로운 대형 매장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가정하자. 다음 중 어떤 주장이 옳을 수 있는가?

  • 지역 시위대는 새로운 소매업체와 기존 소매업체 간에 판매되는 일부 상품의 경우 밀접한 대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새로운 소매업체가 그러한 상품에 대해 비탄력적인 수요에 직면하고 과도한 시장지배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 새로운 소매업체는 일부 상품의 대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수요탄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건전한 경쟁과 소비자들에게 더 낮은 가격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한다.
  • 지역 시위대는 지역 소매업체들이 퇴출된 후에는 경쟁이 사라지고 다국적 소매업체가 더 큰 시장지배력을 가지게 되어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 새로운 소매업체는 지역 소매업체가 판매하는 대부분의 상품이 자사 상품과 충분히 차별화되어 있어, 수요의 탄력성은 지역 소매업체의 이익을 보호할 정도로 높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 밀접한 대체제의 존재는 해당 상품들에 대산 수요가 탄력적임을 의미한다.
  • 재화 간 밀접한 대체가능성은 공급자 간의 경쟁을 의미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더 낮은 가격을 가져온다.
  • 만약 지역 소매업체들이 몰락하면, 다국적 기업은 더 큰 시장지배력을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수요의 탄력성이 낮아지며, 고객을 잃지 않고 가격을 인상할 수 있게 된다.
  • 높은 차별성 (낮은 대체가능성)은 수요가 덜 탄력적임을 의미한다.
  1. Richard J. Gilbert and Michael L. Katz. 2001. ‘An Economist’s Guide to US v. Microsoft’.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5 (2): pp. 25–44.